728x90
반응형
경제 용어 중 물가지수라는 용어를 많이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물가지수란 간단히 정의하면 물가의 변동을 지수로 한 것을 의미하며, 일정 기간 동안 물가 변동을 추정하기 위해 만들어지는 종합물가지수입니다. 단순 가격 정보만을 기초로 하여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상품, 서비스의 양과 가격을 기초로 계산됩니다. 이런 물가지수도 세부사항을 보면 여러 가지로 분류가 됩니다. 이번에는 물가 지수중 하나인 경직성 물가지수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경직적 물가지수
경직적 물가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를 구성하는 품목 중 가격이 경직적으로 움직이는 품목을 대상으로 만든 지수를 뜻합니다. 정부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크게 받는 공공서비스, 전기·수도, 담배, 보육·급식 가격, 개인서비스 요금 등은 경직적 물가를 구성하는 주요 품목에 포함됩니다. 경직적이라는 말의 의미에서 알 수 있듯이, 외부의 환경에 의해 크게 움직이지 않는 물가를 말합니다. 따라서 경직적 물가는 통화정책 관점에서 소비자물가 예측에 유용한 물가지표의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가격 변경이 용이하지 않은 경제주체는 가격을 설정할 때 현재 경제상황보다는 향후 물가상승률에 대한 반영을 예상해서 현재 가격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경직적 물가지수와 반대되는 개념은 신축적 물가지수입니다. 이 내용은 다음 포스팅에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경제 > 경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용어 공부_#19.고용률 (0) | 2022.01.10 |
---|---|
경제 용어 공부_#18.고객확인제도(KYC) (0) | 2022.01.07 |
경제 용어 공부_#16.경제후생지표 (0) | 2021.12.31 |
경제 용어 공부_#15. 경제협력기구(OECD) (0) | 2021.12.29 |
경제 용어 공부_#14.경제심리지수 (0) | 2021.1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