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 용어

경제 용어 공부_#14.경제심리지수

by 꼬츨든 남자 2021. 12. 28.
728x90
반응형

경제 뉴스를 접하다 보면 경제심리지수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합니다. 생소하지만 언론을 통해 많이 접하게 되는 경제심리지수란 용어에 저를 비롯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러 지수와 혼동을 많이 합니다. 비슷한 단어로는 소비자동향지수, 기업경기실사지수가 있습니다. 이번에는 경제심리지수라는 단어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경제심리지수 사용 배경

경제심리지수는 기업과 소비자 모두를 포함한 민간의 경제상황에 대한 심리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경기판단을 위한 유용한 경제정보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경제심리지수는 기업경기실사지수 및 소비자동향지수를 합성하여 작성하는 가공통계입니다.

경제심리지수 진행 이력

국가통계위원회는 각종 통계수요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민간의 경제심리지수 개발 업무를 ‘국가통계 개발·개선계획’의 추진과제로 선정하였으며, 2008년 6월 ‘정부 승인통계 종합정비 시행계획’에 의거하여 이 업무가 통계청에서 한국은행으로 이관되었습니다. 한국은행은 2011년 4월 경제심리지수 작성 방법을 개발하여 1년간 시험 편제를 실시하면서 대내외 전문가의 의견 수렴 및 평가 과정을 거쳐 작성 방법을 확정하고 2012년 6월 통계청 승인을 받아 대외 공표를 시작하였습니다.

경제심리지수 내용

  • 기업경기실사지수(BSI, Business Sentiment Index) : 기업가의 현재 경기 수준에 대한 판단과 향후 전망 등을 설문조사를 통해 지수 화한 지표
  • 소비자동향지수(CSI, Consumer Sentiment Index) : 소비자들의 경기나 생활형편 등에 대한 주관적 판단과 전망, 미래 소비지출 계획 등을 설문조사를 통해 지수 화한 통계 

경제심리지수(ESI, Economic Sentiment Index)는 기업경기실사지수와 소비자동향지수를 합성하여 기업과 소비자 모두를 포함한 민간의 경제 상황에 대한 심리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경제심리지수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40개) 및 소비자동향지수(CSI, 9개) 중 경기 대응성이 높은 7개 항목을 선정하여 이들의 표준화 지수를 가중 평균한 다음 지수의 장기 평균이 100, 표준편차가 10이 되도록 재조정하여 산출합니다. 구성항목 및 가중치는 경제심리지수가 대표적 실물경제지표인 국내총생산(GDP)에 대해 높은 설명력과 대응성을 가지도록 선정되었습니다.
구성 항목의 경제 부문별 가중치는 제조업 45%, 비제조업 30%, 소비자 25%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작성 항목은 경제심리지수(1개), 경제심리지수 순환 변동치(1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표는 매월 보도자료 및 조사통계월보에 공표하며, 적용 지역단위는 전국으로 삼고 있습니다. 2003년 1월부터 누적된 시계열을 대상으로 매월 계절조정을 실시하고 순환 변동치를 산출하여 공표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