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경제/경제 용어34 경제 용어 공부_#35.국민총소득(GNI)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이 3만 달러를 넘었다는 기사를 이미 접했습니다. 국내총생산(GDP)과 국민총소득(GNI)은 경제 기사를 대표하는 지수들 중 하나입니다. 이번에는 국민총소득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국민총소득(GNI)란? 국민총소득(GNI; Gross National Income)은 한 나라의 국민이 생산활동에 참여한 대가로 받은 소득의 합계를 말합니다. 외국으로부터 국민(거주자)이 받은 소득(국외 수취 요소소득)은 포함되고 국내총생산 중에서 외국인에게 지급한 소득(국외 지급 요소소득)은 제외됩니다. 1인당 GNI는 우리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임금, 이자, 배당 등 소득을 합친 뒤 인구로 나눈 통계입니다. 국제비교를 위해 일반적으로 미국 달러화로 표시해 국민들의 생활수준을 판단하는 .. 2022. 2. 10. 경제 용어 공부_#34.국민계정체계(SNA) 국민계정은 국민경제의 순환과 변동을 체계적으로 기록한 사회 회계로서 경제활동을 거래형태별 및 거래에 참가하는 경제주체별로 파악하여 복식부기 방식으로 기록한 자료입니다. 즉, 국민경제의 순환에 따른 변동을 각각의 거래형태와 거래 주체 간의 상호연관하에서 체계적으로 작성한 것입니다. 국민계정체계(SNA; a System of National Account)는 기존의 산업연관표, 국민소득통계, 자금순환표, 국제수지표 등 별개로 파악하고 있던 국민계정관련 통계를 통합, 각종 경제분석에 적합하도록 거래형태 및 거래 주체를 경제활동의 동질성에 따라 몇 가지 부문으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작성한 자료입니다. 즉 국민계정체계는 국민경제의 순환에 따른 변동을 실물거래와 금융거래의 활동 측면에서 파악하여 국민경제의 변동에 의.. 2022. 2. 8. 경제 용어 공부_#32.국가채무 경제뉴스를 접하다 보면 나랏빚(국가채무)이 사상 처음 1,000조 원 벽을 넘게 됐다는 뉴스를 심심치 않게 접합니다. 코로나 영향으로 인해 중앙정부의 공격적인 확장 예산 정책의 결과라는 분석이 많습니다. 나라 경제가 어려워 부양책을 펴기 위한 나랏 빚은 어쩔 수 없다고 하지만, 급격하게 늘어난 적자재정의 정상화 부담은 다음 정부나 후손들에게 전가되는 짐이기도 합니다. 이번에는 국가채무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국가채무란? 국가채무란 정부가 재정적자 보전 등을 목적으로 국내외로부터 자금을 차입함으로써 발생하는 채무를 의미합니다. 국제통화기금(IMF)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국가채무의 주체와 채무의 구체적 범위를 정하고 있으나 국가별로는 차이가 있습니다. 국제통화기금(IMF) : 정부가 직접적.. 2022. 2. 4. 경제 용어 공부_#31. 구제금융 요즘 신문에서 ‘구제금융’이란 용어를 자주 접했습니다. 2008년에는 미국 상하원 의회에서 7000억 달러에 달하는 구제금융법안이 통과되었다는 기사가 신문 헤드라인을 장식하기도 했습니다. 구제금융이란 무엇인지, 왜 필요한 것인지. 또한 문제점은 없은지. 이번에는 구제 금융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구제금융이란? 구제금융은 말 그대로 구제(救濟·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을 도와줌)에서 나온 용어입니다. 어떤 기업이 도산할 경우 국민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우려하여 금융기관은 해당 기업에 도산방지를 위하여 정책적으로 자금을 지원해 주는데 이를 구제금융이라고 부릅니다. 구제금융은 신규 자금 융자 이외에 기 대출금의 상환 시기 조정 등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도산 위기 기업에 회생기.. 2022. 1. 28. 이전 1 2 3 4 ··· 9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