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경제/경제 용어34 경제 용어 공부_#22고통지수 국제유가 등 원자재값 급등에 따른 물가상승으로 올 들어 우리나라의 경제고통지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경제고통지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실업률을 합친 것으로, 국민들이 실제로 느끼는 경제적 생활의 고통을 수치로 표현한 것입니다. 국민이 체감하는 경제적 삶의 어려움을 계량화한 것으로, 미국의 경제학자 아서 오쿤(Arthur Okun)이 고안해냈습니다. 고통지수란? 소비자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더한 값으로 1975년 미국의 경제학자 오쿤(A. Okun)이 국민의 삶에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이 큰 영향을 준다는 점에 착안하여 만든 국민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실업자는 늘고 물가는 높아져 한 나라의 국민이 느끼는 삶의 고통이 늘어남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고통지수(miser.. 2022. 1. 13. 경제 용어 공부_#21고정자산소모 생산활동에는 공장이나 기계설비 등의 고정자산이 필요합니다. 이런 고정자산은 한번 구축해 놓으면 영원히 사용할 수 있는 시설이 아닙니다. 언젠가는 망가지거나 손실이 되는 자산입니다. 하지만 이런 고정 자산들의 마모나 손실이 눈에 보이지 않기에 기준을 가지고 감소되는 비율로 관리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예측하지 못한 순간에 파손이나 고장으로 생산에 차질을 빚을 수 있습니다. 이런 고정자산의 가치 감소분을 고정자산소모라고 합니다. 이번에는 고정자산 소모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고정자산소모란? 생산활동에는 공장, 기계설비 등 고정자본(시설)이 필요한데 이들은 생산활동 과정에서 마모되거나 고장 나기 마련입니다. 이처럼 생산에 이용된 기계 등 자산의 가치 감소분을 고정자본소모(consumption of fix.. 2022. 1. 12. 경제 용어 공부_#20.고용보조지표 실업률이 국민이 체감하는 실제 실업률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은 상당히 오래전부터 제기되었습니다. 공식적으로 실업자는 조사 대상 기간에 수입이 있는 일을 하지 않고, 지난 4주간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고 즉각적으로 취업이 가능한 자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상당히 엄격한 조건에 해당하는 실업자만이 공식적으로 실업통계에 잡히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취업준비생, 구직단념자, 단시간 근로자 등이 실업자에서 제외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공식적 실업통계에 기초한 노동시장 정책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늘어나면서 학계와 언론 등에서 실업률 조사 방식의 개선과 공식 실업률을 보완할 수 있는 보조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계속 제기됐습니다. 이번에는 실업률 조사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 2022. 1. 11. 경제 용어 공부_#19.고용률 최근 경제 기사 중 "한국 경제가 ‘일자리 쇼크’에 빠졌다. 실업률과 고용률, 취업자 수 등 대부분의 고용 지표가 ‘최악의 고용난’ 상황임을 보여주고 있다."라는 기사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그만큼 경제가 어렵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이런 경제 지표 중 하나인 고용률은 한국경제의 가장 큰 지표의 하나인 고용률은 매월 측정이 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고용률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고용률이란? 고용률은 통계청에서 매월 작성하고 있는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집계된 15세 이상 인구(노동 가능 인구)에 대해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며, 최근에는 실업률보다 더 신뢰성 있는 고용지표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고용률이 신뢰성이 있는 이유는 비경제활동인구 때문에 실업률이 실제 경기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의견들이.. 2022. 1. 10. 이전 1 2 3 4 5 6 7 ··· 9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