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경제/경제 용어34 경제 용어 공부_#30. 구속성 예금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은행에서 대출 계약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예금 가입의 조건을 내미는 은행이 많았습니다. 이러한 끼워 팔기 예금이나 금융상품을 구속성 예금이라고 부릅니다. 또한 이를 꺾기라고도 부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불법적인 영업이 이제는 금융감독원에 의해 근절되고 있습니다. 이는 저신용자나, 중소기업의 이자부담을 지게 하는 관행을 바로잡기 위한 정책입니다. 이번에는 구속성 예금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구속성 예금이란? 구속성 예금이란 금융기관이 여신을 제공하면서 자금을 빌리는 주체의 의사에 상관없이 대출금 일부를 예·적금으로 가입하라고 요구하거나 유가증권 매입을 강요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은행이 대출 시 일정 금액을 강제로 예금하도록 하는 것을 뜻하며, 소위 '꺾기'라고 불립니다... 2022. 1. 27. 경제 용어 공부_#29.교환성 통화 재테크의 기본은 경제공부입니다. 경제 공부란 전문적인 지식과 용어로 무장한 전문가의 수준이 아닌 경제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또한 돈의 흐름에 대해 관심도 필요합니다. 국, 내외 경제뉴스들을 읽다 보면 많은 경제 용어들이 나타납니다. 들어본 적은 있는 것 같은데 막상 설명해보려고 하니 막막한 경제 용어들이 많았습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이번에는 교환성 통화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교환성 통화란? 국제적인 통용력을 가진 특정 국가의 통화를 뜻합니다. 현재는 외환시장에서 미국의 달러화와 자유로이 교환 가능한 통화라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제통화기금(IMF)에서는 IMF 협정에 따라 IMF 회원은 자국 통화에 교환성을 부여할 의무를 부여받고 있습니다. 이.. 2022. 1. 26. 경제 용어 공부_#28.교환사채 코로나19 사태 이후 기업들의 교환사채(EB) 발행이 급증하고 있다는 뉴스가 많이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는 장기화된 코로나로 인해 자금상황이 악화되면서 기업들이 보유한 자사주, 계열사 주식을 활용해 현금 조달에 나선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러한 기사를 최근 많이 접하고 있습니다. 교환사채라는 용어의 정확한 이해 없이는 기업이 교환사채를 통해 현금을 확보한다는 내용이 이해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번에는 교환사채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교환사채란? 교환사채(EB; Exchangeable Bond)란 사채권자의 의사에 따라 사채를 교환사채 발행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타사 주식 등 여타의 유가증권과 교환할 수 있는 선택권이 부여된 사채를 의미합니다. 발행하는 채권에 주식이 연계되어 있다는 점에서 발행회사.. 2022. 1. 24. 경제 용어 공부_#27.관리변동환율제도 중국이 지난 2015년 위안화 절하에 나서며 세계 외환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됐습니다. 중국이 인위적으로 통화가치를 절하할 수 있었던 배경은 관리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중국의 이렇게 위안화 가치를 인위적으로 절하하면서 신흥국의 통화가치 변동성이 커지자 자국의 환율제도를 수정하는 나라들도 있었습니다. 이번에는 변동환율제도와 관리변동환율제도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변동환율제도 변동 환율제는 환율제도의 일종으로서 통화 가치가 외국환시장에 따라 변화하는 체계를 말합니다. 변동환율제를 택하는 통화를 변동 환율이라고 부르며, 반대의 개념은 고정 환율제입니다. 변동 환율제의 경우 환전 시 통화의 가격이 자동적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경제 상황에 급작스런 충격이 올 경우 위험성이 줄어든다는 .. 2022. 1. 21. 이전 1 2 3 4 5 ··· 9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