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92

경제 용어 공부_#27.관리변동환율제도 중국이 지난 2015년 위안화 절하에 나서며 세계 외환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됐습니다. 중국이 인위적으로 통화가치를 절하할 수 있었던 배경은 관리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중국의 이렇게 위안화 가치를 인위적으로 절하하면서 신흥국의 통화가치 변동성이 커지자 자국의 환율제도를 수정하는 나라들도 있었습니다. 이번에는 변동환율제도와 관리변동환율제도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변동환율제도 변동 환율제는 환율제도의 일종으로서 통화 가치가 외국환시장에 따라 변화하는 체계를 말합니다. 변동환율제를 택하는 통화를 변동 환율이라고 부르며, 반대의 개념은 고정 환율제입니다. 변동 환율제의 경우 환전 시 통화의 가격이 자동적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경제 상황에 급작스런 충격이 올 경우 위험성이 줄어든다는 .. 2022. 1. 21.
경제 용어 공부_#26.공매도 작년 주식시장의 핫이슈는 공매도였습니다. 코로나19 위기 확산으로 주가 급락을 막기 위해 6개월간 공매도를 금지한 뒤 두 차례 연장 끝에 재개되었습니다. 지난 공매도 금지 조치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11년 유럽 재정위기에 이은 한국 증시 역사상 3번째였고 기간으로는 역대 최장이었습니다. 공매도를 앞두고 많은 사람들의 이해관계가 얽혀 큰 이슈가 되었습니다. 대체 공매도가 뭐기에 주식시장이 이렇게 주목하는 것일까요? 이번에는 공매도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공매도란? 공매도(空賣渡), 영어로 숏 셀링(Short selling), 줄여서 숏(Short)이라고 부릅니다. 공매도는 주가 하락이 예상되는 종목의(혹은 하락시킬 타깃을 정해) 주식을 미리 빌려서 비싼 값에 팔고 나중에 실제로 주가가.. 2022. 1. 20.
경제 용어 공부_#25.공공재 공공재란? 공공재는 모든 개인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재화 또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국방, 경찰, 소방, 공원, 도로 등과 같이 정부에 의해서만 공급할 수 있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또는 정부에 의해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회적으로 판단되는 재화 또는 서비스가 이에 해당합니다. 공공재에는 일반적으로 시장 가격이 존재하지 않으며 수익자 부담 원칙도 적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공공재 규모의 결정은 정치기구에 결정됩니다. 공공재의 대표되는 성질로는 비경합적이며 비배제적인 재화 또는 용역의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경합적 : 재화, 서비스의 소비 과정에서 경쟁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한 사람이 상품을 소비함으로써 다른 사람의 소비분이 줄어들거나 사라지는 일이 없는 특징, 즉 넉넉한 상품 비배제적 .. 2022. 1. 19.
경제 용어 공부_#24.공개시장운영 공개시장운영이라는 경제용어는 과거에 공개시장조작이라고 불렸습니다. 조작이라는 한자어는 기계를 조작한다는 의미의 조작(操作)으로 사용되었으나, 거짓으로 일을 꾸민다는 의미의 조작(造作)으로 받아들여 부정적인 의미가 강해 정식 명칭을 공개시장운영이라는 단어로 변경되었습니다. 이번에는 공개시장운영이라는 용어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공개시장운영이란? 공개시장운영은 중앙은행이 채권을 공개시장에서 매입 또는 매각함으로써 금융기관과 민간의 유동성을 조절하는 동시에 간접적으로 시장금리를 조절하는 정책수단입니다. 공개시장운영은 정책효과가 금융시장의 가격 메커니즘을 통해 나타나고 매매량을 신축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탄력적인 운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어 선진국에서도 가장 선호되는 통화정책수단이다. 그러나 .. 2022. 1. 17.
경제 용어 공부_#23골디락스경제 경제소식을 접하며 한 번씩은 들어본 골드락스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경제에 빗대어 사용하는 단어이지만 마케팅과 천문학 등 여러 분야에 골고루 사용되고 있습니다. 골드락스 경제라는 말은 영국의 전래동화인 골드락스와 곰 세 마리에서 유래하였다고 합니다. 동화에 따르면 엄마 곰이 끓인 뜨거운 수프를 큰 접시와 중간 접시 그리고 작은 접시에 담은 후 가족이 이를 식히기 위해 산책을 나갔는데, 이때 집에 들어온 골디락스가 아기 곰 접시에 담긴 너무 뜨겁지도 않고 너무 차지도 않은 적당한 온도의 수프를 먹고 기뻐하는 상태를 비유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골드락스 경제라는 단어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골드락스 경제란? 먼저 "골디락스와 곰 세 마리"의 내용을 간단하게 소개하겠습니다. 골디락스는 아빠 곰, 엄마 .. 2022. 1. 14.
경제 용어 공부_#22고통지수 국제유가 등 원자재값 급등에 따른 물가상승으로 올 들어 우리나라의 경제고통지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경제고통지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실업률을 합친 것으로, 국민들이 실제로 느끼는 경제적 생활의 고통을 수치로 표현한 것입니다. 국민이 체감하는 경제적 삶의 어려움을 계량화한 것으로, 미국의 경제학자 아서 오쿤(Arthur Okun)이 고안해냈습니다. 고통지수란? 소비자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더한 값으로 1975년 미국의 경제학자 오쿤(A. Okun)이 국민의 삶에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이 큰 영향을 준다는 점에 착안하여 만든 국민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실업자는 늘고 물가는 높아져 한 나라의 국민이 느끼는 삶의 고통이 늘어남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고통지수(miser.. 2022. 1. 13.
경제 용어 공부_#21고정자산소모 생산활동에는 공장이나 기계설비 등의 고정자산이 필요합니다. 이런 고정자산은 한번 구축해 놓으면 영원히 사용할 수 있는 시설이 아닙니다. 언젠가는 망가지거나 손실이 되는 자산입니다. 하지만 이런 고정 자산들의 마모나 손실이 눈에 보이지 않기에 기준을 가지고 감소되는 비율로 관리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예측하지 못한 순간에 파손이나 고장으로 생산에 차질을 빚을 수 있습니다. 이런 고정자산의 가치 감소분을 고정자산소모라고 합니다. 이번에는 고정자산 소모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고정자산소모란? 생산활동에는 공장, 기계설비 등 고정자본(시설)이 필요한데 이들은 생산활동 과정에서 마모되거나 고장 나기 마련입니다. 이처럼 생산에 이용된 기계 등 자산의 가치 감소분을 고정자본소모(consumption of fix.. 2022. 1. 12.
경제 용어 공부_#20.고용보조지표 실업률이 국민이 체감하는 실제 실업률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은 상당히 오래전부터 제기되었습니다. 공식적으로 실업자는 조사 대상 기간에 수입이 있는 일을 하지 않고, 지난 4주간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고 즉각적으로 취업이 가능한 자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상당히 엄격한 조건에 해당하는 실업자만이 공식적으로 실업통계에 잡히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취업준비생, 구직단념자, 단시간 근로자 등이 실업자에서 제외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공식적 실업통계에 기초한 노동시장 정책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늘어나면서 학계와 언론 등에서 실업률 조사 방식의 개선과 공식 실업률을 보완할 수 있는 보조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계속 제기됐습니다. 이번에는 실업률 조사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 2022. 1.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