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 용어

경제 용어 공부_#23골디락스경제

by 꼬츨든 남자 2022. 1. 14.
728x90
반응형

경제소식을 접하며 한 번씩은 들어본 골드락스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경제에 빗대어 사용하는 단어이지만 마케팅과 천문학 등 여러 분야에 골고루 사용되고 있습니다. 골드락스 경제라는 말은 영국의 전래동화인 골드락스와 곰 세 마리에서 유래하였다고 합니다. 동화에 따르면 엄마 곰이 끓인 뜨거운 수프를 큰 접시와 중간 접시 그리고 작은 접시에 담은 후 가족이 이를 식히기 위해 산책을 나갔는데, 이때 집에 들어온 골디락스가 아기 곰 접시에 담긴 너무 뜨겁지도 않고 너무 차지도 않은 적당한 온도의 수프를 먹고 기뻐하는 상태를 비유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골드락스 경제라는 단어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골드락스 경제란?

먼저 "골디락스와 곰 세 마리"의 내용을 간단하게 소개하겠습니다. 골디락스는 아빠 곰, 엄마 곰, 아기 곰이 살고 있는 어느 빈 집에 들어가게 됩니다. 배가 너무 고팠던 골디락스는 식탁에 차려 놓은 세 그릇의 수프를 발견하게 됩니다. 하나는 너무 뜨겁고, 또 하나는 너무 식어서 차가운 반면 나머지 한 수프는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았습니다. 골디락스는 이 세 가지 중에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수프를 먹습니다. 수프를 먹고 배가 부른 골디락스는 낮잠을 청하려 하는데 그 앞에는 또 세 종류의 침대가 있었습니다. 하나는 너무 딱딱한 침대고 또 하나는 너무 부드러웠으며 다른 하나는 너무 딱딱하지도 않고 너무 부드럽지도 않은 적당한 탄력을 가진 침대였습니다. 골디락스는 적당한 탄력을 가진 침대를 골라 낮잠에 빠집니다. 이렇게 골디락스는 항상 적당한 것을 선택했습니다. 
경제학에서는 이 부분을 인용해 경기가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을 우려할 만큼 과열되지도 않고, 그렇다고 경기 침체가 우려될 만큼 냉각되지도 않은 이상적인 상태일 때를 '골디락스 경제'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골드락스 경제의 사용과 확산

골디락스 경제라는 단어는 이후 유력 언론사들에 등장하며 널리 확산되었습니다. 1990년대 미국 경제가 과도한 인플레이션 없이 안정적인 경제 성장세를 보이자 미국 언론에서 당시 경기를 골디락스 경제로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영국의 "파이낸셜 타임스"도 2004년에 고성장 중인 중국에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지 않자, "중국 경제가 골디락스에 진입했다"라고 언급하면서 이 말이 더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골드락스의 또 다른 사용처

골디락스는 마케팅과 천문학에서도 응용되고 있습니다.

  • 마케팅
    고가, 중간가, 저가의 상품을 함께 배치하여 중간가의 상품을 소비자가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전략을 말합니다.
    여기서 그러한 중간가를 골디락스 가격이라고 부릅니다.
  • 천문학 
    태양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해 생명체가 존재하기에 적당한 기온을 가지고 있는 행성을 골디락스 행성이라고 합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발견한 케플러-452b가 대표적인 골디락스 행성입니다.

골드락스 경제를 황금기라고 표현하는 이유

통상적으로 골드락스 경제를 황금기라고 표현합니다. 일반적으로 경기가 호황일 때를 황금기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적당한 경제상태를 표현하는 골드락스 경제를 황금기라고 표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경기가 너무 좋으면 자연스레 물가가 오르기 때문입니다. 경제가 좋으니 사람들의 소비심리가 늘어나 수요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자연스러운 물가 상승을 일으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물가가 오르기 때문에 호황기를 황금기라고 표현하지 않습니다. 호황기 때 물가가 계속 오르게 되면 언젠가는 국민들의 삶이 힘들어지게 마련이라, 국가는 물가를 낮추고자 노력합니다. 그래서 중앙은행이 금리를 올려, 시중에 유통되는 돈의 양을 줄이고자 합니다. 유통되는 돈의 양이 줄어들게 되면 사람들의 소비심리가 위축되며, 수요가 줄어들어 물가가 다시 내려가게 됩니다. 하지만 이런 일련의 행동으로 성장하던 경제는 제동이 걸리게 됩니다. 결국 경기가 좋아도 과도하게 물가가 오르면 사람들이 살기 힘들어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물가를 잡다 보면 경제 성장이 둔화됩니다.
따라서 적당한 경제성장과 적당한 물가 상승이 이루어지는 이상적인 경제상태인 골드락스 경제를 황금기라고 표현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