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이 3만 달러를 넘었다는 기사를 이미 접했습니다. 국내총생산(GDP)과 국민총소득(GNI)은 경제 기사를 대표하는 지수들 중 하나입니다. 이번에는 국민총소득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국민총소득(GNI)란?
국민총소득(GNI; Gross National Income)은 한 나라의 국민이 생산활동에 참여한 대가로 받은 소득의 합계를 말합니다. 외국으로부터 국민(거주자)이 받은 소득(국외 수취 요소소득)은 포함되고 국내총생산 중에서 외국인에게 지급한 소득(국외 지급 요소소득)은 제외됩니다. 1인당 GNI는 우리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임금, 이자, 배당 등 소득을 합친 뒤 인구로 나눈 통계입니다. 국제비교를 위해 일반적으로 미국 달러화로 표시해 국민들의 생활수준을 판단하는 데 사용합니다.
GDP와 GNI의 차이는?
국민소득 통계 가운데 생산지표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것이 국내총생산(GDP)이며, 소득지표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것이 국민총소득(GNI)입니다. GDP는 한 나라의 경제 규모를 가늠하는 경제 지표로서, 한 나라의 국경 안에서 일정기간 동안 가계, 기업, 정부 등 경제주체가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시장 가격으로 평가항 총합입니다. GDP는 한 나라의 경제 규모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나 국민의 평균적인 생활 수준을 알아보기에는 부족합니다. 따라서 생활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GNI 지표를 이용하며, 이를 인구수로 나눈 1인당 GNI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GNI의 사용
예전에는 국민총생산(GNP)를 공식 지표로 더 많이 사용했습니다. GNP의 기준은 국경이 아닌 국민입니다. 자국민이라면 해외에서 경제활
동을 하고 있어도 그 수치가 GNP에 포함되나, 외국인이라면 국내에서 경제활동을 해도 그 수치는 GNP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경제성장과 더불어 우리 국민의 해외 진출이 늘어나면서 대외 수취 소득을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이 어려워져, GNP의 정확성이 점점 떨어지게 되었습니다. 더욱이 세계화의 물결에 힘입어 국가 간 교류가 많아지며 국내에서 외국인이 벌어들이는 돈을 무시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런 이유로 GNP 대신 국경을 기준으로 외국인들의 생산활동도 수치에 포함시키는 GDP가 공식 지표로 사용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1994년부터 경제성장률 등의 생산 중심지표를 GNI에서 GDP로 바꾸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GNI의 한계
GNI는 모든 경제주체가 한 해에 벌어들이는 총소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부와 기업의 소득이 가계소득보다 상대적으로 높을 때 가계가 느끼는 체감경기와 괴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계의 소득 비중이 줄어들어도 정부와 기업의 소득이 증가하게 되면 1인당 GNI는 상승하게 됩니다. 가계의 구매력을 더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1인당 가계총처분소득(PGDI)라는 지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실제로 2018년 1인당 GNI가 3만 달러를 넘어서면서 한국도 선진국 대열에 포함되었지만 실질적으로 느껴지는 가계의 체감경기는 호전되지 않았습니다.
'경제 > 경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용어 공부_#34.국민계정체계(SNA) (0) | 2022.02.08 |
---|---|
경제 용어 공부_#32.국가채무 (0) | 2022.02.04 |
경제 용어 공부_#31. 구제금융 (0) | 2022.01.28 |
경제 용어 공부_#30. 구속성 예금 (0) | 2022.01.27 |
경제 용어 공부_#29.교환성 통화 (0) | 2022.0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