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 용어

경제 용어 공부_#12경영실태평가

by 꼬츨든 남자 2021. 12. 24.
728x90
반응형

경영실태평가라는 말이 언론에서 자주 등장하고 있습니다. 금융기관도 기업과 같이 이익을 추구하는 집단입니다. 단지 돈을 다룬다는 점에서 일반기업과는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은행도 기업과 동일하게 재정의 건전성과 수익에 대한 평가를 받습니다. 이런 금융기관의 평가를 경영실태 평가라고 합니다. 이번에는 경영실태평가라는 금융용어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경영실태평가란?

경영실태평가는 1996.10 도입된 제도로, 기존의 ‘은행경영평가제도’가 재무제표를 위주로 은행 간 상대평가만을 실시함으로써 은행들의 실질적인 경영실태를 파악하기 어려움에 따라 도입시행하게 되었습니다경영실태평가를 통해 금융회사의 경영부실위험을 적기에 파악하고 조치하기 위하여 경영상태 전반을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확인하여 종합적이고 통일적인 방식에 따라 일정한 등급으로 평가하는 제도입니다. 이런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 금융기관 경영상의 취약부문을 식별하여 적절한 시정방안을 제시합니다. 또한 등급평가 결과에 따라 감독, 검사 업무를 차등화함으로써 금융기관의 책임경영체제를 확립하고자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습니다

경영실태 평가 방법과 등급

금융기관의 경영실태 전반을 점검평가하는 제도입니다. 경영상태를 부문 별로 일정한 방식에 의거 등급 평가하고 이를 다시 종합적으로 평가함으로써 . 평가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 CAMEL-R 시스템
    은행 본점 및 현지법인에 대한 평가방식
    경영평가부문을 자본 적정성(C), 자산 건전성(A), 경영관리의 적정성(M), 수익성 (E), 유동성(L), 리스크 관리(R) 등 6개 부문으로 평가
  • ROCA 시스템
    외은지점 및 국내은행 국외지점에 대한 평가 방식
    리스크관리(R), 경영관리 및 내부통제(O), 법규준수(C), 자산 건전성(A) 등 4개 부문으로 구분, 평가
  • CACREL 시스템 : 특수은행에 대한 평가
    일반은행의 경영관리의 적정성(M)과 리스크 관리(R)를 법규준수(C)와 위험관리(R)로 대체하여 평가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