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예측이란 앞으로의 경기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를 미리 측정하는 것으로, 과거·현재·미래의 경제여건을 감안하여 경험적 또는 이론적 방법을 적용하여 추정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실생활을 통해 경기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를 경기동향지수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경기동향지수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경기동향지수란?
일반적으로 경기확산지수라고도 한다. 경기 종합지수와 함께 흔히 사용되고 있습니다. 경기동향지수는 경기 종합지수와는 달리 경기변동이 진폭이나 속도는 측정하지 않고 변화 방향만을 파악하는 것으로 경기의 국면 및 전환점을 판단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며 경기확산지수라고도 합니다. 경기 종합지수에서와 같이 선행·동행·후행지수의 3개 군으로 구분되어 작성되며, 계절변동과 불규칙 요인이 제거된 계열을 가지고 총 계열 중에서 전월에 비해 증가한 지표수가 차지하는 비중으로 나타냅니다. 총 구성지표 수에서 차지하는 증가 지표 수와 보합 지표 수를 파악해 0에서 100의 수치로 표시된다. 이 지수가 50을 넘어가면 경기가 확장국면으로 들어선 것을 의미하고, 50 아래로 떨어지면 경기가 수축국면에, 50이면 경기 전환점에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20개의 대표 계열 중 10개의 지표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움직였다면 경기동향지수는 50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 지수가 50을 초과하면 경기는 확장국면에, 50 미만이면 경기는 수축국면에 있음을 나타내며 50이면 경기가 전환점에 있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경기동향지수는 경기 종합지수와 달리 개별 경제지표들의 변화나 방향만을 종합한 경기지표이기 때문에 이 지수 자체가 경기 변동속도를 정확히 보여줄 순 없습니다. 경기동향지수는 현재 미국과 일본, 캐나다, 호주 등의 주요 선진국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1972년부터 한국은행에서 매월 작성하고 있습니다.
경기동향지수 구성
우리나라의 경기 종합지수는 선행 종합지수, 동행 종합지수, 후행 종합지수 3개가 작성되고 있으며, 기준연도 수치가 100이 되도록 하여 산출하고 있습니다. 매월 통계청에서 19개(선행 7개, 동행 7개, 후행 5개) 구성지표의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가공ㆍ종합하여 작성ㆍ공표하고 있습니다.
- 선행 종합지수
선행 종합지수는 건설수주, 재고순환, 경제심리지수 등의 지표처럼 실제 경기순환에 앞서 변동하는 개별지표를 가공ㆍ종합하여 만든 지수로 향후 경기변동의 단기 예측에 이용됩니다.
선행 종합지수 구성지표 7개
재고순환지표, 경제심리지수, 건설수주액(실질), 기계류 내수 출하지수(선박제외), 수출입물가 비율, 코스피, 장단기 금리차 - 동행 종합지수
동행 종합지수는 공급 측면의 광공업생산지수, 서비스업 생산지수 등과 수요측면의 내수 출하지수 등과 같이 실제 경기순환과 함께 변동하는 개별지표를 가공ㆍ종합하여 만든 지수로 현재 경기 상황의 판단에 이용됩니다.
동행 종합지수 구성지표 7개
광공업생산지수, 서비스업 생산지수(도소매업 제외), 소매판매액지수, 내수 출하지수, 건설기성액(실질), 수입액(실질), 비농림어업 취업자 수 - 후행 종합지수
후행 종합지수는 재고, 취업자 수 등 실제 경기순환에 후행하여 변동하는 개별지표를 가공ㆍ종합하여 만든 지표로 현재 경기의 사후 확인에 이용됩니다.
후행 종합지수 구성지표 5개
생산자제품재고지수, 소비자물가지수 변화율(서비스), 소비재 수입액(실질), 취업자 수, CP유통수익률
'경제 > 경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용어 공부_#11경상수지 (0) | 2021.12.22 |
---|---|
경제 금융 용어 공부_#10경기순응성(procyclicality) (0) | 2021.12.21 |
경제 금융 용어 공부_#8거액결제시스템 (0) | 2021.12.17 |
경제 금융 용어 공부_#7을기금(乙基金,Capital B) (0) | 2021.12.15 |
경제 금융 용어 공부_#6 직접세, 간접세 (0) | 2021.1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