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의 기본은 금리의 정확한 이해라고 생각됩니다. 대출이나 투자를 하게 되면 무조건 접하게 되는 기준금리와 가산금리에 대해 어려워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금융 관련 업무를 위해서는 반드시 이해가 필요한 금리와 기준금리, 가산금리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금리
금리는 돈의 값어치라는 의미로서 흔히 사용되는 이자율과 같은 의미입니다. 금리는 사용한 원금에 대한 이자를 말하며, 보통 1년 기준 ‘연 금리’로 계산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금리는 단순히 예금이나 적금, 대출금리에만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채권, 주식의 배당금 등에도 적용됩니다. 이런 금리의 움직임을 토대로 전문가들은 경제의 흐름을 예측하기도 합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얘기하는 금리의 종류는 매우 다양합니다. 국고채 유통수익률, 회사채 유통수익률, 양도성 예금증서 유통수익률, 기업어음 유통수익률, 콜금리, 환매채 금리, 대출금리, 예금금리 등 수많은 종류의 금리가 있습니다.
기준금리
기준 금리는 각 나라마다 다르며, 해당 국가의 중앙은행이 정하게 됩니다. 보통 중앙은행은 경기 과열이나 인플레이션이 예상되면, 금리를 올려 과열된 경기와 인플레이션에 의한 물가 상승을 억제합니다. 금리를 올려 시중에 유통되는 자금이 예금이나 적금 등의 형태로 은행에 회수될 수 있도록 금리를 인상시킵니다. 반대로 경기침체기에는 악화되는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금리를 내립니다. 금리를 내리게 되면 이자 부담이 줄어들어 시중에 자금이 활발하게 유통됩니다. 이런 자금들이 주식, 부동산, 기업대출, 실물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경기침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중앙은행이 경제 상황에 대해 검토 후 기준금리를 매월 발표하며, 변동된 기준금리는 경제에 바로 영향을 주게 됩니다.
가산금리
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조건에 따라 달리 덧붙이는 금리입니다. 가산금리는 채권이나 대출금리를 정할 때 기준금리에 덧붙이는 위험가중금리를 말합니다. 시중의 은행들은 한국은행이 조정하는 기준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해 대출금리를 결정합니다. 가산금리는 대출자의 신용도와 은행의 마진 등이 반영됩니다. 신용도가 높아 위험이 적으면 가산금리가 낮아지고, 신용도가 낮아 위허이 많아지면 가산금리는 상승합니다.
'경제 > 경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금융 용어 공부_#6 직접세, 간접세 (0) | 2021.12.13 |
---|---|
경제 금융 용어 공부하기_#5가상통화공개(ICO) (0) | 2021.12.10 |
경제 금융 용어 공부하기_#3가동률 (0) | 2021.12.08 |
경제 금융 용어 공부하기_#2 가계 신용 (0) | 2021.12.07 |
경제 금융용어 공부_#1가계수지(Household's total income and expenditure) (0) | 2021.1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