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동률이라는 단어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어 뜻이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큰 의미에서는 주어진 능력 대비 얼마의 생산성을 보여주느냐를 정량적으로 나타낸 수치입니다. 경제 지표에서도 가동률이라는 말이 흔히 사용되는데 이는 제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의미의 가동률을 의미합니다. 이번에는 경제용어로써 사용되는 가동률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가동률이란?
가동률이란 생산능력 대비 생산실적의 백분율로, 생산설비가 어느 정도 이용되는지를 나타내는 경제지표입니다.
가동률 = 생산 실적/생산 능력 x 100
- 생산 능력 : 사업체가 정상적인 설비, 인력, 조업시간 등 조업환경 하에서 생산할 때 최대 생산 가능량(적정생산능력)을 의미
- 생산 실적 : 사업체가 정상적인 설비, 인력, 조업시간 등 조업환경 하에서 생산할 때 실질 질적으로 생산한 량의 정량적 의미
생산설비가 어느 정도 이용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사업체를 주어진 조건(설비, 노동, 생산효율 등)에서 정상으로 가동하였을 때 생산할 수 있는 최대 생산량(=생산능력)에 대한 실제 생산량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여러 기관에서 서로 다른 기준으로 가동률 통계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 중소기업 협동조합의 가동률 : 조합 사업체의 가동률을 단순 평균하여 중소제조업 가동률을 작성
- 국가산업단지공단의 가동률 : 단지 내에 있는 사업체만을 대상으로 단순 평균하여 가동률을 작성
- 전경련의 가동률 : 부정기적으로 회원사 중 소수의 사업체(약 30개)를 대상으로 단순 평균하여 가동률을 작성
- 통계청의 가동률 : 전국을 대상으로 대표성 있는 품목과 사업체를 선정하고 또한 개개 품목의 중요도를 감안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가동률을 작성
가동률이 가지는 의미
제조업 분야의 가동률 지수는 제조업 부문의 주요 제품을 생산하는 사업체에 대한 생산능력, 생산실적, 설비 상황 등을 조사하여 제조업 부문의 생산능력과 설비 이용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가동률은 공급능력과 설비 가동의 절대 수준을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2015년을 기준연도로 정하고 생산능력과 가동률을 100으로 하였을 때 비교 시의 공급능력과 가동상태가 어느 수준인가를 나타냅니다. 생산설비의 가동상황인 가동률은 경기의 단면을 보여주는 좋은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들이 앞으로의 경기 예상에 따라 가동률을 높이거나 낮추는 방법으로 생산량을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동률이 높다고 무조건 좋은 것이 아닙니다. 그 이유는 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 높은 가동률은 앞으로 경기가 회복될 것이라는 희망적인 신호로 인식되지만 경기가 활황세인 상황에서 지나치게 높은 가동률은 오히려 인플레이션의 위험성을 키우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제조업 생산능력 및 가동률지수는 매월 통계청이 산출/발표하고 있는데, 이들 지수는 공급능력과 설비 가동의 절대 수준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기준연도의 생산능력과 가동률을 100으로 하였을 때 비교 시의 공급능력과 가동상태가 어느 수준인가를 나타냅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제조업체의 생산설비 이용도를 보여주는 지표로서 기준연도의 제조업 평균가동률에 비교시점의 가동률지수(계절조정)를 곱하여 산출합니다.
제조업 분야의 평균가동률이 가지는 의미
제조업 분야의 평균가동률은 일반적으로 경기가 호황일 때는 공장 설비 가동률이 높고 경기가 침체에 빠질 경우에는 이 수치가 낮아집니다. 이를 토대로 제조업 평균가동률이 낮으면 투자 위축과 실업 등으로 이어지므로 중요한 경제지표의 하나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조업 평균가동률이 지나치게 높으면 공급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으며, 반대로 너무 낮으면 생산설비의 효율성이 낮은 수준임을 의미하기 때문에 가동률 하나만으로 경제지표를 파악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경제 > 경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금융 용어 공부_#6 직접세, 간접세 (0) | 2021.12.13 |
---|---|
경제 금융 용어 공부하기_#5가상통화공개(ICO) (0) | 2021.12.10 |
경제 금융 용어 공부하기_#4금리, 기준금리, 가산금리 (0) | 2021.12.09 |
경제 금융 용어 공부하기_#2 가계 신용 (0) | 2021.12.07 |
경제 금융용어 공부_#1가계수지(Household's total income and expenditure) (0) | 2021.12.06 |
댓글